전체메뉴닫기
모바일 메뉴 닫기
 
학과소개

한국학협동과정은 한국의 문화 / 역사 / 종교 / 경제 / 정치 / 예술 / 언어 등 다양한 분과를 넘나드는 학제적 연구를 지향하며, 타 지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보편적 한국학의 정립을 위해 노력한다. 현재 <한국전통사회와문화>, <한국현대사회와문화>, <한국어교육>이 세부전공으로 개설되어있다.

한국학협동과정을 졸업하면 국내외 대학의 한국학과와 각 대학 부설 연구소 및 부설 교육 기관, 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정부 관련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진출하거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교사로 활약할 수 있다. 그리고 문화 정책이나 문화산업, 콘텐츠 개발 및 연구 분야로의 진출도 유망하다.

교수명단
성명 학위 전공
김철 Ph.D. (연세대, 1985) 국문학
김하수 Ph.D. (독일 Bochum Univ., 1988) 국어학
서상규 Ph.D. (연세대, 1992) 국어학
신형기 Ph.D. (연세대, 1988) 국문학
이경훈 Ph.D. (연세대, 1995) 국문학
이윤석 Ph.D. (연세대, 1985) 국문학
박무영 Ph.D. (이화여대, 1985) 국문학
백문임 Ph.D. (연세대, 2002) 국문학
임용기 Ph.D. (연세대, 1991) 국어학
강현화 Ph.D. (연세대, 1996) 국어학
김장환 Ph.D. (연세대, 1992) 중국시론
김도형 Ph.D. (연세대, 1989) 한국사
박영철 Ph.D. (Univ. de Provence, 1980) 고고학
백영서 Ph.D. (서울대, 1993) 중국사
하일식 Ph.D. (연세대, 1998) 한국사
임성모 Ph.D. (연세대, 1998) 일본사
도현철 Ph.D. (연세대, 1997) 한국사
류인희 Ph.D. (연세대, 1980) 동양철학
신규탁 Ph.D. (도쿄대, 1994) 불교철학
이광호 Ph.D. (서울대, 1993) 동양철학
김성우 Ph.D. (Univ. of Pennsylvania, 1993) 건축사
김기정 Ph.D. (Univ. of Connecticut, 1989) 국제정치학
김동노 Ph.D. (Univ. of Chicago, 1994) 역사사회학
김현미 Ph.D. (Univ. of Washington, 1995) 문화이론
황금중 Ph.D. (연세대, 2000) 교육사
홍성찬 Ph.D. (연세대, 1989) 경제사
강승혜 Ph.D. (연세대, 1996) 한국어교육
한국학 협동과정 내규

가. 일반원칙

1) 운영위원회: 교과편성 및 강좌개설 등 제반 학사관리를 위하여 국학 연구원 부장단으로 구성되는 국학협동과정 운영위원회를 둔다. 위원장은 국학연구원장이 맡는다.

2) 주임교수: 학사행정의 원활을 위하여 국학연구원장이 1인의 주임교수를 위촉하여, 협동과정을 관장하도록 한다.

3) 전공과정 : 학생들의 전공과정은 ①한국전통사회와 문화 ②한국현대사회와 문화 ③한국어교육의 세 과정으로 나눈다. 본 과정은 2008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4) 국학협동과정은 국학연구원 연구목표와 과제 및 사업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을 장려한다.

5) 학위과정은 대학원에서 규정하는 석사, 박사, 석ㆍ박사 통합의 3개 과정으로 하고, 단기 혹은 특수연구와 수강을 위하여 연구생과정과 박사후 과정을 설치한다.

나. 입시

1) 석사와 석ㆍ박사 통합과정은 출신학과에 제한을 두지 아니하나, 박사과정의 경우 석사과정과 동일한 전공이어야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학제간의 연구나 새로운 학문분야의 모색을 위한 경우 지도교수의 동의에 의해 예외로 할 수 있다.

2) 입시는 대학원에서 관장하는 일반전형, 특별전형의 원칙에 따르나, 협동과정의 목적달성과 국학진흥을 위해서 상시 지원신청을 받아 입학여부를 내락 후 관리할 수 있다.

3)일반전형
① 전공단위로 동일한 내용의 시험을 출제 사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② 어학 시험은 100점 만점에 70점을 과락 기준으로 하고, 대학원에서 규정하는 검정을 받도록 한다. (TOEFL 450점 이상, TOEIC 500점 이상 통과)
③ 대학 성적 외국어능력을 포함하는 구술고사는 전공시험의 20%를 반영한다.
④ 구술고사 점수배분

구분 전공에 대한 지식 학문에 대한 열정과 진지성 전공에 대한 적성 어학능력 연구분야 및 여건의 특수성 합계
배분 20 20 20 20 20 100%

4) 특별전형
① 서류심사 제출서류 : 1. 학사(석사)학위 논문 2. 어학 및 특수 분야 연수 증명 혹은 성적 3. 기타 이전의 자신의 연구 성과물
② 서류심사 점수배분

구분 학업계획서 대학(원) 성적 추천서 학위논문 및 기타 연구성과 어학 및 특수강좌 이수 합계
배분 20 20 10 30 20 100%

③ 구술고사 점수배분은 일반전형과 동일하다.

5) 합격사정은 전공점수와 구술고사 그리고 외국어시험의 합산을 기준으로 하되, 국학 협동과정의 정책적 판단에 따라 일반과 특별전형, 전공분야별 인원을 배분할 수 있다.

다. 지도교수

1) 입학한 학생은 2학기 내에 전공분야를 명시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여 주임교수에게 제출하고, 지도교수를 배정받아야 한다.

2) 학생은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수강 및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여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고 학점 취득 및 연구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3) 과정이수 및 논문지도를 성실하게 임하지 않은 학생에 대해 지도교수는 주임교수에게 지도 불능을 통보할 수 있고, 주임교수는 다시 지도교수를 배정한다. 이 경우 새로운 지도교수는 학점이수 및 자격시험을 다시 부과할 수 있다.

4) 학생이 지도교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주임교수에게 사유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경우에도 학점이수 및 자격시험을 다시 부과할 수 있다.

5) 지도교수의 부득이한 사유(장기출장, 퇴직 등)로 지도교수가 변경되어야 할 때, 주임교수는 학생과 상담하여 지도교수를 배정할 수 있다.

라. 과정이수 및 학위논문 제출 자격시험

1) 석사과정 학생은 학위 취득에 필요한 30학점 중 최소 15학점을, 박사과정 학생은 30학점 중 최소 15학점을 석ㆍ박사 통합 과정생은 54학점 중 24학점을 본 협동과정에서 개설하는 과목을 이수하여야 하며, 나머지 학점은 주임교수와 협의하여 관련학과에서 개설한 과목으로 취득할 수 있다.

2) 지도교수는 학생의 연구능력과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학부과정이나 기타 특수강좌의 수강을 지도할 수 있다. 이 경우 6학점까지를 학점취득으로 인정할 수 있다.

3) 학점취득이 석사과정은 18학점, 박사과정은 18학점, 석ㆍ박사통합과정은 33학점 이상을 이수한 후 평균성적이 B+(평량 평균 3.3이상)이상이 될 경우, 논문제출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4) 입학 시 어학 시험 합격 기준에 미달된 자는 학위 논문 자격시험 전까지 제 1외국어 어학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5) 외국인인 경우 제1외국어를 한국어능력시험으로 대체 하며, 학위논문 제출 전에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1)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의 한국어능력시험 6급 자격 취득.
(2) 세계한국말 인증시험(KLPT) 450점(500점 만점) 이상 취득.
(3) 연세대학교 부설 한국어학당 6급 수료자격 취득.

6) 논문제출 자격시험은 석ㆍ박사 공통으로 한국학연구입문, 석사과정은 수강한 과목 중, 지도교수가 지정하는 1과목, 박사과정은 2과목의 시험에 응시하여 평균 70% 이상의 성적을 받고 구술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본 세칙은 2009년 1학기 자격시험부터 적용한다.

7) 논문제출 자격시험은 매학기 초 3월과 9월에 주임교수의 관장 하에 실시되며, 학생은 2월말과 8월말까지 학점 취득표, 논문계획서를 첨부하여 논문제출자격시험을 청구해야 한다.

마. 논문작성 및 심사

1) 자격시험에 합격한 학생은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논문을 작성하여야 한다.

2) 학위논문의 심사청구는 논문제출 자격시험에 통과한 다음 학기부터 가능하며, 학생은 당해 학기 초(3월31일/9월30일)까지 초고를 작성하여 지도교수에게 제출하고, 지도교수가 타당하다고 인정할 때, 대학원에 논문제출계획서를 제출한다.

3) 논문을 제출하는 학생은 해당 학기 예심 전에 반드시 논문 공개 발표회를 하여야 한다. 논문 공개 발표는 주임교수의 주관 하에 이루어지며, 매 학기 초에 협동과정 공동 논문 발표회 형식으로 한다.

4)논문제출계획서가 제출되면 주임교수는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심사위원을 위촉한다.

5) 학생은 논문심사개시 10일 이전까지 심사위원장의 지도에 따라 각 심사위원과 주임교수에게 각 1부의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6) 예심이 통과되면, 주임교수는 제출된 논문과 심사결과를 공개하고 최종심이전까지 학내 성원의 의견을 청취하여야 한다.

부칙
1) 본 내규는 1999년 3월부터 시행한다.
2) 본 개정은 2006년 3월부터 시행한다.
3) 본 개정은 2007년 3월부터 시행한다.
4) 본 개정은 2007년 11월 5일부터 시행한다.
5) 본 개정은 2008년 4월 14일부터 시행한다.
6) 본 개정은 200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7) 미비한 사항은 과정 운영위원회의 결정과 관례에 따른다.

종합시험

① 석사학위 과정 : 본 협동과정 개설과목 중 전공필수 과목 1개 과목을 포함하고, 지도교수가 정한1개 과목을 추가하여 총 2개 과목이상에 응시하여야 한다.

② 박사학위 과정 : 본 협동과정 개설과목 중 전공필수 과목 1개 과목을 포함하고, 지도교수가 정한2개 과목을 추가하여 총 3개 과목이상에 응시하여야 한다.

한국학협동과정 교과목
학정번호 과목명 학점
KOS7501 고문서연구 I(STUDIESOFANCIENTDOCUMENTS I)
고문서 자료를 강독하고 이해한다.
3학점
KOS7502 고문서연구2 (STUDIESOFANCIENTDOCUMENTS2)
고문서 자료를 강독하고 이해한다.
3학점
KOS7601 한국의고전문학 (KOREANCLASSICALLITERATURE)
한국고전 문학의 역사적 흐름과 함께 개별 갈래의 대표적 작가와 작품의 문예성을 연구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연원을 탐구한다.
3학점
KOS7602 한국의 현대문학 (KOREANContemporaryLITERATURE)
해방 후 한국의 문화, 학술 지형이 재구성되는 과정과 양상에 대한 포괄적 검토를 바탕으로 문학과 문학연구의 흐름을 이해한다.
3학점
KOS7603 한국전통문학과사상 (KOREANTRADITIONINLITERATUREANDTHOUGHTS)
한국 문학 속에 수용된 유교, 불교, 도교와 무속신앙 등이 소재, 주재, 배경적 차원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구체적인 양상을 연구한다.
3학점
KOS7604 한국어문법론 (THEORIESOFKOREANGRAMMAR)
한국어 문법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전통적이고 규범적인 학교 문법을 재정립 한다. 특히 종래의 문법이론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발전적인 이론을 모색해 본다.
3학점
KOS7605 한국언어와사회 (KOREANLANGUAGE&SOCIETY)
한국의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연구한다. 특히 언어사용형태와 사회적 기능을 분석한다.
3학점
KOS7606 한국어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에 동원되는 다양한 방법론을 익히고 실습하며,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연구 방법론을 개발한다.
3학점
KOS7607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한국의 문학작품과 세계 각국의 문학작품을 비교연구함으로써, 세계문학의 장에서 한국문학을 이해하고, 나아가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3학점
KOS7608 한국어교육론(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원리/방법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검토를 목표로 한다.
3학점
KOS7609 한국어문법교육론(STUDIE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한국어 문법교육의 쟁점(문법 항목 구성, 문법 용어 사용, 문법 배열과 기술)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를 검토한다. 한국어 문법 범주별 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을 익혀서 한국어 교육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3학점
KOS7610 언어교수이론(THEORIES ON LANGUAGE TEACHING)
제 2언어 및 외국어 학습에 따른 외국어 교수법의 발달사를 개괄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어교수법를 연구한다.
3학점
KOS7611 한국문학교육론(STUDIES ON TEACHING KOREAN LITERATURE)
한국어 교수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문학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살펴보고 한국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학교육이 무엇인가를 연구한다.
3학점
KOS7612 한국문화교육론(STUDIES ON TEACHING KOREAN CULTURE)
한국을 잘 나타내는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한국문화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한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3학점
KOS7613 한국어한자교육론(STUDIES O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한자교육의 범위를 살펴보고, 언어권별 한자 교수 학습의 방법론을 모색한다.
3학점
KOS7614 한국어교구론(STUDIES ON MATERIALS FOR KOREAN TEACHING)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 및 교구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교재 및 교구 구성의 원리를 연구하고, 이에 맞춰 다양한 한국어 교재를 분석, 검토한다. 교재 구성의 원리에 맞추어 한국어 교재를 재구성하고 학습자의 학습 목표에 맞는 교재 개발을 연구한다.
3학점
KOS7615 한국어번역론(RESEARCH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한국어를 외국어와 대조하여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용어와 문장을 활용하여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3학점
KOS7616 한국어정책 연구(RESEARCH IN KOREAN LANGUAGE POLICY)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국내외 한국어교육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3학점
KOS7617 한국어강의실습(PRACTICUM IN TEACHING KOREAN)
교육현장에 나아가서, 실제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한국어 교육의 과정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자질을 키운다.
3학점
KOS7701 한국역사와 사회 (KOREAN HISTORY &SOCIETY)
한국 역사의 원형을 이룬 한국 고대 삼국의 사상과 문화에 대하여 살펴본다. 불교를 중심으로 유교와 도교의 상호교섭에 대해서 살펴본다. 동아시아 역사에서 한국의 사상과 문화의 위치에 대해서 토론해 본다.
3학점
KOS7702 동아시아비교역사론 (COMPARATIVESTUDIESONEASTASIANHISTORIES)
한국, 중국, 일본의 역사 발전과정과 성격 등을 비교 검토한다.
3학점
KOS7703 한국 근대사 (KOREANMODERN HISTORY)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과정 속에서 한국 민족의 역사가 어떻게 변화·발전하였는가 하는 문제를 그 내재적 계기에 초점을 맞추어 구조적으로 이해한다.
3학점
KOS7704 한국현대사 (KOREANCONTEMPORARYHISTORY)
한국 현대사를 그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종합 검토한다.
3학점
KOS7705 한국역사와사회의이해 1(COMPARATIVEAPPROACHTOKOREANHISTORYANDSOCIETY 1)
한국 역사와 사회 발전과정의 성격 등을 일정한 시기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이해한다.
3학점
KOS7706 한국역사와사회의이해 2 (COMPARATIVEAPPROACHTOKOREANHISTORYANDSOCIETY 2)
한국 역사와 사회 발전과정의 성격 등을 일정한 시기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이해한다.
3학점
KOS7707 한국중세사론 (THEORIESOFKOREANMEDIEVALHISTORY)
한국 중세사의 특정 분야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석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한다.
3학점
KOS7709 한국현대사론 (THEORIESOFKOREANCONTEMPORARYHISTORY)
한국 현대사의 특정 분야에 관한 연구성과를 분석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한다.
3학점
KOS7710 한국현대사회의이해 (UNDERSTANDINGOFKOREANMODERNSOCIETY)
한국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현대사회학의 여러 이론적 틀을 대입하여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3학점
KOS7711 동아시아비교문화론 (EASTERNASIANCOMPARATIVECULTURALSTUDIES)
한국 문화의 본질과 특성을 동아시아 비교문화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3학점
KOS7802 한국교회와선교 (KOREANCHURCHANDMISSION)
언더우드, 아펜셀러 등 초대 한국교회를 시작한 선교사들의 선교신학과 신약시대 대표적 선교사들을 비교연구하고, 선교신학 및 현대선교 시작과 한국교회의 현재 선교상황을 비교, 분석한다.
3학점
KOS7806 한국의 실학 (SILHAK IN KOREAN)
조선시대의 실학사상의 과정을 검토하고 실학사상을 중심으로 사상의 내용을 검토한다.
3학점
KOS7807 한국의기독교 (CHRISTIANITYINKOREA)
조선시대에 들어온 천주교와 개신교의 사상사적 중요성을 사회구조의 관련성 속에서 검토한다.
3학점
KOS7808 한국철학사연구 (STUDIESINTHEHISTORYOFKOREANPHILOSOPHY)
토착 사상으로부터 도교, 불교, 유교와 동학에 이르기까지의 철학적 전통을 구조와 변용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철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이해한다.
3학점
KOS7809 한국의 무속과 민간신앙 (SHAMANISM AND FOLK RELIGION IN KOREA)
한국의 무속과 민간 신앙을 전체적 한국역사의 맥락에서 이해한다.
3학점
KOS7810 한국의유교와불교 (BUDDHISMANDCONFUCIANISMINKOREA)
한국사상의 줄기를 이룬 불교와 유교의 근본문제를 논하고 이 두 종교적 전통의 관계와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3학점
KOS7811 한국영상문화론(KOREAN VISUAL STUDIES)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시각 텍스트를 분석한다.
3학점
KOS7812 한국예술의이해 (COMPREHENSIVEAPPROACHTOKOREANARTS)
한국의 전통음악, 무용, 회화, 공예, 건축, 문학 등이 상호 친연성 속에서 진행한 양상을 살피며, 아울러 현대 예술의 흐름과 전망을 다룬다.
3학점
KOS7813 한국 전통문화의 근대변용 (TRANS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3학점
KOS7814 한국불교사상 (BUDDHISTTHOUGHTINKOREA)
한국 사상의 줄기를 이루는 불교의 역사적 중요성을 한국 사회구조의 관련성 속에서 검토한다.
3학점
KOS7901 한국학연구입문 (INTRODUCTIONOFKOREASTUDIES)
3학점
KOS7902 한국학연구입문2 (INTRODUCTIONOFKOREASTUDIES2)
3학점
KOS7903 한국특수분야연구1 (SPECIALFIELDSINKOREANSTUDIES1)
한국의 특정한 분야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3학점
KOS7904 한국특수분야연구2 (SPECIALFIELDSINKOREANSTUDIES2)
한국의 특정한 분야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3학점
KOS7999 연구지도1 (DIRECTEDRESEARCH1)
0학점
KOS9999 연구지도2 (DIRECTEDRESEARCH2)
0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