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5
- 유병삼 명예교수(신태환학술상), 최상엽 교수(김태성학술상), 김선빈 교수(경제학연구 우수논문상) 수상
- 2025년 2월 6-7일 한남대학교에서 열린 2025년도 경제학공동학술대회에서 본교 경제학과의 전현직 교수 세 명이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먼저 유병삼 명예교수는 한국경제학 초기 도입 단계에 활동한 경제학자들의 업적, 신 이론 도입, 보급 등 초창기 경제학계 발전 기여도를 고려해 선정한 7회 신태환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최상엽 교수는 한국계량경제학회에서 만 40세 이하의 젊은 경제학자들 중 연구 성과가 탁월한 경제학자를 선정하여 수상하는 김태성 학술상을 수상(15회)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선빈 교수는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 방안의 세대별 후생효과 : 중첩세대모형을 이용한 분석"이라는 논문으로 한국경제학회의 학술지인 경제학연구에 실린 논문 중 그 해에 가장 우수한 연구에 주는 상을 수상하였다. 관련기사 링크: https://v.daum.net/v/20250204114156376 (유병삼 명예교수, 김선빈 교수) http://es.re.kr/post/326 (최상엽 교수)
- 경제학부 2025.02.10
-
74
- 심명규 교수, 김성균학생(본교 학/석/박사과정) 공저 논문 B.E. Journal of Theoretical Economics 게재
- 심명규 교수(좌)와 김성균 학생(우) 심명규 교수가 본교 경제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성균 학생과 함께 공저한 논문인 "Ex-Ante Information Heterogeneity in Global Games Models with Application to Team Production"이 이론경제학에서 인정받는 학술지 중 하나인 B.E. Journal of Theoretical Economics에 게재 확정되었다. 해당 연구는 본교 경제학부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후 현재 UCSD 경제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송도영 학생도 공저자로 참여하였다. 해당 연구는 글로벌 게임(global games)에 참여하는 참여자 간 정보 정확성이 사전적(ex-ante)으로 차이가 존재할 때 유일한 균형이 존재하는 충분조건을 도출한 후, 해당 유일한 균형에서 정보가 많은 참여자와 정보가 적은 참여자 간 행동이 어떻게 차이날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분석한 기여를 인정받았다. 논문 링크: https://www.degruyter.com/document/doi/10.1515/bejte-2024-0022/html
- 경제학부 2025.01.22
-
73
- 2024 조락교 기념 컨퍼런스 성료
- 금년도에 처음 개최된 조락교 기념 컨퍼런스(연세대학교 조락교경제학상 기금/경제학부 BK 21 사업단 공동 지원)가 지난 11월 5일~6일 사이에 "Utilizing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xperiments and individual-level consumption data in the context of macroeconomics"라는 주제로 대우관 323호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13회 조락교경제학상 수상자이자 현재 American Economic Review 에디터인 Yuriy Gorodnichenko 교수(UC Berkeley)를 비롯하여 현재 거시경제학계에서 가장 프론티어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들(Michael Weber 교수(University of Chicago), Scott Baker 교수(Northwestern University), Peter Ganong (University of Chicago))들을 초청하여 진행되었으며, 본교 연구진들 역시 Yuriy Gorodnichenko 교수와 진행 중인 연구 등을 발표하며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다.
- 경제학부 2024.11.12
-
72
- 최상엽 교수, 피지연 학생(본교 학부/석사졸업, U of Michigan 경제학과 박사과정) 공저논문 JMCB 게재
- 최상엽 교수(좌) 피지연 학생(우) 최상엽 교수가 제자인 피지연 학생(본교 학부/석사과정 졸업 후 현재 U of Michigan 경제학 박사과정 1년차 재학 중)과 공저한 논문이 거시경제학 분야에서 가장 인정받는 학술지 중 하나인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논문 제목: "Impact of Uncertainty Shocks on Income and Wealth Inequality")에 게재 확정되었다. 해당 연구는 미국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충격이 소득 및 자산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VAR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불확실성 증대가 고소득 및 중소득 그룹 간 소득 불평등은 감소시키지만 중간 그룹과 가난한 그룹의 소득 불평등은 증대시킨다는 기존 불확실성 충격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사실을 다수 보고함으로써 불확실성 충격의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학술적 공로를 인정받았다. 논문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111/jmcb.13228
- 경제학부 2024.10.30
-
71
- 정재민 학생(석사과정)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 2024년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에서 본교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정재민 학생이 "Individual vs. Aggregate CPI: Implications on Labor Supply Elasticity"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장려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로써 2020년 하정민(최우수상, 당시 석사과정/현재 MSU 박사과정)/김다윗(우수상, 당시 석사과정/현재 Univ. of Virginia 박사과정), 2021년 김정현(최우수상, 당시 석사과정/현재 UCSD 박사과정), 2022년 이영호(최우수상, 당시 석사과정/현재 본교 박사과정), 2023년 이재혁(최우수상, 당시 석사과정/현재 본교 박사과정)/정서윤(우수상,당시/현재 박사과정)에 이어 5년 연속으로 경제학과 소속 대학원생이 해당 학술대회에서 수상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링크: https://www.kli.re.kr/board.es?mid=a40104000000&bid=0016&tag=&act=view&list_no=144821
- 경제학부 2024.10.10
-
70
- 최상엽 교수 '제13회 다산젊은경제학상' 수상
-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만 45세 이하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수상하는 '제13회 다산 젊은경제학자상'에 본교의 최상엽 교수가 선정되었다. 최상엽 교수는 주요국 통화정책이 글로벌 은행을 통해 어떻게 파급되는지를 분석한 연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국제거시/거시 분야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학문적 기여를 인정받아 해당 상을 수상하였다. 금년도 시상식은 10월 11일에 열릴 예정이다. 기사 링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0674921 최상엽 교수 인터뷰 링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1069551
- 경제학부 2024.10.07
-
69
- 김광환 교수, 김정현 학생(본교 학부/석사졸업, UCSD 경제학과 박사과정) 공저 논문 JME 게재
- 김광환 교수(좌)와 김정현 학생(우) 김광환 교수가 제자인 김정현 학생(본교 학부/석사과정 졸업 후 현재 UCSD 경제학 박사과정 1년차 재학중)과 공저한 논문이 거시경제학 분야에서 가장 인정받는 학술지인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논문 제목: "Optimal trend inflation in an open economy")에 게재 확정되었다. 해당 연구의 공저자 중 한 명인 김석준 학생 역시 김광환 교수의 제자로, 본교 학부 및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현재 NYU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과정 2년차에 재학 중이다. 해당 연구는 ZLB가 존재하는 개방경제 모형에서 최적 목표 물가상승률을 도출하였는데, 특히 무위험이자율 평가설이 성립한다면 (i) 최적 목표 물가상승률은 폐쇄경제일 때 보다 낮고 (ii) 통화연합(monetary union)에서의 최적 목표 물가상승률은 변동환율제에서 보다 더 낮음을 보였다. 반면 무위험이자율 평가가 충분히 성립하지 않는다면 최적 물가상승률은 폐쇄경제일 때 보다 커서 통화연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함을 보였다는학술적 기여를 인정받았다. 논문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4393224001284
- 경제학부 2024.08.30
-
68
- 서승환 전 총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임명
- 서승환 명예교수(1987년~2024년 본교 재직, 2020년 2월~2024년 1월 총장 재임)가 윤석열 정부 제2기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서승환 명예교수는 도시경제/부동산 분야가 전공으로, 2013년부터 2년 간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국민경제자문회의는 국민경제와 관련된 정책에 대한 대통령 자문을 수행하기 위해 헌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과학기술자문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함께 헌법상 3대 자문기관이다. 뉴스링크: https://v.daum.net/v/20240829182402973
- 경제학부 2024.08.30
-
67
- 김형철학생(본교 학부졸업, 석사 졸업예정), 이종관 교수의 공저 논문 Southern Economic Journal에 게재
- 김형철 학생(본교 학부졸업/석사졸업 후 2024년 가을 UPenn Wharton School 박사과정 진학 예정)이 이종관 교수와 경제학계의 저명 학술지 중 하나인 Southern Economic Journal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해당 연구는 THAAD 배치로 인한 한국의 대(對)중국 인식 악화가 국내 중국 이민자 수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중국 이민자들의 주관적 차별인식이라는 매커니즘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기여를 인정받았다. 논문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soej.12723
- 경제학부 2024.08.12
-
66
- 4차 거시경제학 워크샵 성료
- 조락교 연구 클러스터(거시), 시그니처 연구클러스터사업단(경제학), BK연구단이 주관한 4차 거시경제학 워크샵이 지난 7월 5일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해당 워크샵은 본교 교원(마은성 교수, 심명규 교수) 2인, 해외 거시경제학자 4인(Dora Xia (BIS), Ying Feng (NUS), Soyoung Lee (Bank of Canada), Hanbaek Lee (U of Cambridge))이 최근 연구들을 발표하였으며, 특히 이번에는 본교 대학원생 4인(김현평, 김종수, 한서우, 이재혁)이 진행 중인 연구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져서 더욱 의미있는 워크샵이 되었다.
- 경제학부 2024.07.09
- 1
- 2
- 3
- 4
- 5
- 6
- 7
- 8
-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